경기도는 117년 만에 11월 폭설로 잇따른 피해를 입었다.
경기도는 재난피해의 조속한 복구를 위해 총 301억5000만원의 재정지원을 긴급히 결정했다.
첫째, 긴급제설작업과 긴급복구를 위한 재난관리기금 73입니다.
5000만원을 31개 시·군에 일괄 지급한다.
1차 배분된 재난관리기금은 필요한 제설제, 제설장비, 연료비, 긴급복구비 등 장비와 물품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또 폭설로 인한 이재민과 일시 대피자, 정전 피해자 등 1만5000여 명에게 8억원 규모의 재난구호금을 지원한다.
도는 집계된 추가 피해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매년 폭설 등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과 소상공인에게 금융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조성하는 ‘재해피해기업 특별관리기금’도 적극 지원한다.
도는 올해 지원 규모를 당초 50억 원에서 최대 200억 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지원 대상은 폭설 피해로 인한 시·군수 또는 읍면·동장으로부터 ‘재난소상공인 확인서’ 또는 ‘피해 사실 확인서’입니다.
대출한도는 중소기업 1인당 최대 5억원, 소상공인·자영업자는 최대 5000만원이다.
아울러 대출 금리는 은행대출 금리를 기준으로 하며, 중소기업은 1.5%P, 소상공인은 2%P의 고정금리를 계획하고 있다.
한편 김동연 지사는 지난달 29일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정호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대표를 만났다.
안양지역 도의회 의원들과 함께 폭설로 지붕이 무너진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을 방문해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상인들을 위로했다.
이날 회의에서 김 지사는 관계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적설로 인한 붕괴 위험 건축물 등 위험지역 순찰 강화 ▲해동으로 인한 합선 등 전기화재 대비 전통시장 감시 활동 강화 ▲철거 비용 지원을 위한 추가 명령이 내려졌다.
농·축산 농가의 파손시설 처리. 지난달 29일 오전 기준. 특히 경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농경지 42ha, 축사 983개소 등 농·축산 농가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경기도는 피해시설 철거와 농산물·축산물 폐기 등을 지원하고 있다.
조속히 복구계획을 수립하고 예비비를 투자해 이를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김 지사는 “지금은 돈을 쓸 때”라며 “주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피해 복구를 위해 가능한 모든 대책을 조속히 강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라고 강조했다.
/전건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