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치 않고, 고여 있는 풍경


조선일보

– 전문가 칼럼 –

쉬운 목차

(변함 없이 서있는 풍경)

얼마 전 일본 여행에서 책가방의 무게 때문에 힘들어하는 초등학생을 봤다.
Randosell Open Run에 대한 기사를 읽었을 때 일본은 절대 변하지 않는 나라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란도세루는 일본 초등학생들의 국민가방으로 1970년대 한국 초등학생들도 이 가방을 착용했다.
비싼 가격만 봐도 두꺼운 가죽이라 많은 아이들이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데 왜 수십년째 이 가방만 고집하는지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조선일보(백영옥 작가)

일본 총리가 ‘팩스 시스템 개편’을 추진했다는 기사를 읽었지만 이메일이 팩스보다 안전하지 않다는 이유로 관계자들이 반대하면서 개혁이 난항을 겪었다.
일본은 여전히 ​​CD 플레이어가 있는 노트북이 많이 팔리는 나라입니다.
수백 년 된 우동 가게, 온천 여관, 카페도 많이 있습니다.
오래된 가게에서 파는 커피나 우동 가격도 큰 변화가 없는데, 이는 30년 동안 오르지 않은 임금의 장기 정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본을 자주 여행하는 친구는 일본이 편하다고 말한 적이 있다.
20년 전에 우연히 들렀던 라면집이 아직까지 영업을 하고 있고, 20년이 지난 지금도 가게가 있어서 다행입니다.
그는 1년이 지나면 사라지는 가게가 많고 동네 지도가 10년마다 바뀌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큰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이미지 컷

일본의 한 대형마트 점원이 물건에 세일 표시를 하는 장면을 봤다.
처음에 10% 할인 스티커가 붙은 초밥의 가격은 사람들이 그것을 집어들지 않을 때 30%에서 50%로 떨어졌습니다.
대부분의 신선식품은 물론 모든 즉석식품에 붙어 있는 할인 스티커를 보면서 싸지 않으면 사지 않으려는 일본인의 리얼리티를 목격했다.
높은 급여보다 평생직장의 안정을 선호하는 일본의 풍경은 정체되어 있다.
급변하는 한국의 풍경과 천천히 정체되는 일본의 풍경 속에서 50% 세일 스티커가 붙은 스시를 350엔에 먹었다.
변하기 때문에 좋은 것과 변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것 사이에 묘한 느낌이 들었다.

조선닷컴 朝鮮日報 (백영옥의 말과 글) 2023.2.25 토요일 عرض المزي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