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간단한 대화 앙상블을 보여줍니다.
120분간의 런닝 동안
예를 들어 1화에서 ‘은영'(조은지)은 20대 후반에 함께 파리에서 공부한 ‘명숙'(김소이)과 ‘다혜'(송은지). , 만나서 추억을 나누며 현재에 대해 이야기하기 약 10년 동안 세 사람은 서로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느라 바빴다.
이어지는 작품의 주축은 ‘승진'(박종환)과 ‘필재'(곽민규)가 집 근처 공원에서 유모차를 끌며 나누는 대화다.
외부 곡선을 반복합니다.
옆축에는 ‘은영’과 ‘승진’이 만나 ‘데이트’인지 아닌지도 모른 채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나온다.
나는 “연결”이라는 단어를 계속 사용했지만 그 연결 사이에는 영화의 순서에 맞지 않을 수 있는 비우호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은영’이 밖에 있는 택시 안에서 휴대폰을 떨어뜨리고 ‘택시운전사'(정재윤)와 수다를 떨고 있는 장면이다.
정치, 동물권 등 사회적 이야기도 있지만 작품의 소재가 아니라 소재로 쓰인다.
보고 있으면 보이는 구조
“‘대화’가 있기 때문에 사람과의 ‘관계’도 유지될 수 있지 않느냐”는 김덕중 감독의 실험정신이 엿보이는 듯했다.
배우들의 대사도 애드리브가 아니었다.
,하지만 실제 대화와 같은 모의 호흡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최근 공개된 비하인드 영상에서 곽민규는 “첫 촬영 기억나냐”고 묻자 “19테이크라고 하더라. 20테이크를 했으면 어땠을까”라고 말했고, 박종환은 “요즘 세상에 저런 촬영이 가능하다”며 한 장면을 여러 번 반복하는 솔직한 심경을 드러냈다.
위의 영화제 프로그래머의 의견을 보면 다음과 같이 추측할 수 있습니다.
부산국제영화제 정한석 프로그래머는 “선형적인 서사로 삶의 의미를 설득하기보다 일상의 소중한 조각들을 모아 하나의 작품으로 선보임으로써 관객의 삶에 대한 상상적 서사에 도전한다”고 말했다.
비선형 방식 편곡 방식.” 감성적인 울림과 파장이 대단하다.
” 서울독립영화제 정지혜 프로그래머도 “장면과 시퀀스 사이에 긍정적인 긴장감이 있고, 카메라의 위치와 움직임을 활용해 프레임 안팎을 빛내는 감독의 전략이 돋보인다.
“
그러므로
말의 맛이 생명인 만큼 독립영화계의 거장으로 꼽히는 조은지, 박종환, 곽민규, 김소이, 송은지, 곽진무의 연기가 인상적이었다.
알지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