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과 파수꾼이라는 낯선 단어가 주는 이국적인 느낌, 그리고 고전이라는 이유로 책을 샀다.
그렇게 아껴뒀던 민음사 호밀밭의 파수를 어떻게든 읽어보려고 원데이 독서토론 책으로 선정했다.
유명한 책이어서 참가자도 꽤 모였다.
책만 읽으면 되는 순간이었다.
호밀밭에서 잡히는 사람은 어느 출판사에서 번역한 걸 읽어야 하나요.”
번역이 그렇게 문제가 될 줄이야. 호밀밭에서 잡는다만큼 많은 출판사에서 번역한 책도 적고 번역 여부를 따지는 글이 많은 책도 없을 것이다.
오래되긴 했지만 2009년 10월 고교 독서 평설을 소개하는 내용을 옮긴 블로거의 글로 영미문학연구회 번역평가사업단에 따르면 국내에서 출간된 호밀밭에서 잡는다.
번역본 중 추천 번역본은 한 권도 없다는 충격적인 내용을 발견했다.
특히 SNS 상에는 민음사 번역본은 절대 읽어선 안 된다는 글이 많아 이 글에서 문예출판사, 문학사상, 현암사 번역본을 추천했다.
2017년 주간조선의 한국인이 호밀밭 파수꾼을 가장 사랑하는 이유라는 기사에서는 모순되게도 민음사의 세계문학전집 중 가장 많이 팔린 책 1위가 호밀밭 파수꾼으로 2001년 출간 이후 92쇄해 50만 부 이상이 팔렸다.
2위인 데미안과 13만 부 이상 차이가 날 정도로 압도적이다.
결론적으로 참가자들에게는 출판사에 관계없이 읽을 것을 권유했고 나는 원서와 현암사 번역본을 읽었다.
결국 오래 전에 사둔 민음사 책은 읽지 않았다.
원서 현암사 문예출판사 민음사의 순원서로 읽어야 그 느낌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는 의견은 원서에서 자주 나오는 속어와 비어 때문이다.
그래서 번역이 더 어려운 것이다.
민음사의 경우 번역자의 작품 해설이 따로 없는 반면 현암사에서는 작품 해설을 제공한다.
살아 있는 영어 속어와 비어를 한국어로 올바르게 번역하려고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원서에 자주 나오는 속어와 비아 sonuvabitch, damn, goddam, pain in the ass (두통의 씨앗, 눈엣가시), crap (헛소리), phony, Chrissake, Wudddaya (What)
이 책이 미국에서 필독서로 꼽히는 것은 이해하지만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이유를 찾으려면 다양한 상상력이 필요하다.
그 나이 또래 청소년, 특히 남자아이가 읽으면 동감이 되기 때문이기도 하고 사춘기가 지난 어른들도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정도로 고전할 수 있을지는 솔직히 의문이었다.
독서 토론 중 한 문우는 미국 소설이니까 가능하다고 했지만 나는 그 의견에 동의한다.
미국 사회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힘을 준 것이 아닐까. 또 많은 저자가 이 책을 언급하고 극찬하기 때문에 꼭 읽어야 할 것 같은 의무감마저 느낀다.
오히려 홀덴이 큰 사고를 치지 않아 실망이 컸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평범한 16세 소년이라고 공감할 수 있었을까.
이 책 제목이 호밀밭에서 잡는다인 이유가 더 흥미진진했다.
호밀밭 사이를 걸어오는 누군가를 잡으면(If a body catch a body coming through the rye)이라는 노래는 책에서 두 번 나온다.
이 노래는 스코틀랜드 시인 로버트 번스의 시 ‘호밀밭 사이에 와 있다'(Comin Thro’ The Rye)라는 시에 곡을 붙인 노래라고 한다.
홀덴이 브로드웨이에 한 번 가려고 할 때 교회에서 막 나온 가족을 본다.
여섯 살쯤 된 아이가 그 노래를 부르면서 보도와 차도 사이 차도를 걷는 데도 부모는 개의치 않았다.
둘째 동생 피비가 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말하는 순간을 설명하려고 호밀밭 사이를 걸어오는 누군가를 잡는다면이라고 하지만 동생은 잡는 것이 아니라 만난다면(If a body meet a body coming through therye by Robert Burns). 어쨌거나 홀든은 잡는다면 하고 생각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어쨌거나 나는 넓은 호밀밭 같은 곳에서 어린 아이들이 어떤 놀이를 하는 모습을 계속 머릿속에 그리고 있었어. 수천명이나 되는 아이가 놀고 있는데 주위에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내 말은 어른이 하나도 없다는 거야.나를 빼고는 말야. 그런데 나는 아주 가파른 벼랑 옆에 서 있어. 그러다가 누구든 벼랑 너머로 떨어지려고 하면 그 아이를 붙잡아주는 거야.”
아이들이 벼랑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홀덴이 잡아주고 싶은 게 뭘까. 홀덴처럼 방황하는 사춘기 소년 소녀들, 홀덴의 잘못은 아니지만 지키지 못한 제임스 캐슬, 백혈병으로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난 동생 알리, 실제로 낮에 홀덴이 읽은 인도와 차도 사이를 끝으로 걷던 어린이, 피비학교에 그려진 거친 낙서. 그리고 누구보다 홀덴 자신이 아니었을까? 홀든이 보았을 때 제대로 된 어른이 없는 세상에서 자신이 파수꾼을 자처하고 자신도 지키며 이들을 꼭 안아주고 싶었다.
아무에게나 절대 말하지 마세요. 일단 말하고 나면 모든 사람이 그리워지기 시작하니까요.”
겉으론 괴팍하고 불평불만으로 가득해 질풍노도의 시기를 보내는 듯한 홀덴이지만 누구보다 가족과 친구를 사랑하는 따뜻한 홀덴. 그 매력 때문에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것일까.
- 3월 원데이 독서토론 : 3월 23일(화) 저녁 10시 《파타고니아, 파도칠 땐 서핑을》으로 진행합니다.
3월 원데이 독서토론 <파타고니아, 파도칠 때 서핑을>에서 만나요 | <파타고니아, 파도칠 때 서핑을>을 올해 1월에 읽었습니다.
옳은 일을 선택하고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압도적으로 성공하는 기업을 만났습니다.
마케팅 책에서도 브랜드 액티비즘의 대표적인 기업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제품과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결국 판단은 소비자가 현명하게 해야 할 텐데. 최고의 제품을 우선시하면서도 내구성, 수선가능성, 단순한 brunch.co.kr <호밀밭의 파수꾼> 서평| 호밀밭과 파수꾼이라는 낯선 단어가 주는 이국적인 느낌, 그리고 고전이라는 이유로 책을 샀다.
그렇게 아껴뒀던 민음사 호밀밭의 파수를 어떻게든 읽어보려고 원데이 독서토론 책으로 선정했다.
유명한 책이어서 참가자도 꽤 모였다.
책만 읽으면 되는 순간이었다.
호밀밭에서 잡히는 사람은 어느 출판사에서 번역한 걸 읽어야 하나요.번역이 그렇게 brunch.co.kr
- 매일 독서 습관을 기르다 – 원데이 독서토론 톡톡 – 서평으로 시작하는 글 – 나를 찾아오는 글 – 내 글에서 빛이 납니다 – 일과 삶의주간성찰구독 #서평 #하루키 #호밀밭에서 망을 보고 #샐린저 #잡문집 #망설임 #인간조건 #지킴이 #번역 #원데이독서토론 #하루키 #호밀밭에서 망루 #문학사상 #잡문예출판 #문예사상 #문예사상 #문예출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