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호르몬 검사(Growth Hormone Test)

성장호르몬은 두 가지 작용을 한다.
첫째는 성장효과이며, 이는 간과 골격계 조직에서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를 생성해 IGF-I가 연골조직에 작용함으로써 성장을 자극한다.
성장을 자극하는 IGF-I는 골격계에서 생성되는 IGF-I로 알려져 있고 간에서 생성하는 IGF-I는 다르게 작용한다는 게 지배적인 견해다.
성장호르몬의 또 다른 작용은 대사작용으로 당 생성과 단백질 동화작용을 증가시켜 지방조직에서 지방산 동원(lipolysis)을 증가시킨다.
결론적으로 성장호르몬은 발육과 신체발달을 조절하고 근육형성을 자극하며 지방조직을 감소시켜 체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검사 항목

성장 호르몬 검사(Growth Hormone Test, GH)은 성장 호르몬의 결핍 또는 과다 생성의 원인이 되는 병이나 상태를 규명하고 뇌하수체 기능 평가 때문에 검사한다.
성장 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된다.
과잉 분비되는 성장 호르몬은 성인이 거시적이라는 이상한 성장 패턴과 아이들은 거제 인증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졌다.
성장 호르몬이 너무 적으면(hyposecretion)소아의 더딘 성장 속도를 유발할 수 있고, 성인의 근육량, 콜레스테롤 수치 및 뼈 강도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뇌하수체 질환과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을 가진 성인에서는 보통 성장 호르몬 결핍증이 따른다.
성인 성장 호르몬 결핍증은 분구성과 대사 이상만 아니라 육체적 능력과 정신 기능 장애와 연관이 있다.
대부분의 성장 호르몬 검사는 성장 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소아의 더딘 성장이 문제가 되고 검사하는 경우가 많다.
성장 호르몬 결핍증의 임상적 증상은 지방량의 증가와 근육량 감소로 나타나고 무기력한 생활의 질이 줄어든다.
그러나 이런 증세는 비특이적이어서 임상적 증상만으로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기보다는 호르몬 검사로 확인해야 한다.

정확한 진단 및 검사 소견 때문에 다양한 항목을 검사할 수 있다.
1. 임상 진단 연령 대비 저 키 측정, 성장 속도 측정, 임상적 특징( 둥근 얼굴, 복부 비만, 정상상 마디와 아래 마디의 비율)2. 인슐린 유사 생장 인자(IGF-1)검사 IGF-1은 성장 호르몬 과다와 결핍을 반영하지만 이 수치는 하루 종일 불안해서 평균 성장 호르몬 수치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낮은 IGF-1값은 GH결핍을 의미하며 GH분비가 비정상인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추가 테스트가 필요하다.
IGF-1의 측정은 영양 상태의 변화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3.IGFBP-3검사 성장 호르몬의 평가를 돕는 데 사용된다.
성장 호르몬(GH)의 수치로 GH결과의 해석에 도움이 된다.
IGFBP-3은 신체의 IGF-I의 주요 운반체이다.
이 두개의 단백질의 혈중 농도는 GH에 의해서 조절된다.
4.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 L-dopa검사, Arginine검사, Glucagon검사, Clonidine검사, GHRH검사. 자극 검사에서 모두 성장 호르몬의 최고 반응 값을 측정한다.
만약 7~10ng/mL미만의 경우 성장 호르몬 결핍증으로 진단한다.
5. 성장 호르몬 분비 관찰 24시간, 20~30분 간격으로 성장 호르몬 농도를 측정. 성장 호르몬 분비 상태의 측정.6. 방사선 검사 뼈 나이(boneage)검사, CT및 X선 검사의 정확한 성장 호르몬 검사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하루, 2일 입원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대학 병원의 경우는 일반 소아과 의원의 소견서가 필요할 때가 있다.
또 공복 상태에서 진단을 위해서 절식한다.
진단 및 검사에 대한 측정 값은 해당 병원 또는 기관으로 판단한다.
그에 따른 성장 호르몬 치료는 해당 주치의와 면밀하게 상담하고 판단한다.
references)1. Lindsay R, Feldkamp M, Harris D, Robertson J, Rallison M. Utah Growth Study:growth standards and the prevalence of growth hormone deficiency. J Pediatr. 1994;125(1):29– 35.[PubMed]2. Rona RJ, Tanner JM. Aetiology of idiopathic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England and Wales. Arch Dis Child. 1977;52(3):197– 208.[PMC free article][PubMed]3. Vimpani GV, Vimpani AF, Lidgard GP, Cameron EH, Farquhar JW. Prevalence of severe growth hormone deficiency. Br Med J. 1977;2(6084):427– 430.[PMC free article][PubMed]4. Bao XL, Shi YF, Du YC, Liu R, Deng JY, Gao SM. Prevalence of growth hormone deficiency of children in Beijing. Chin Med J(Engl)1992;105(5):401– 405.[PubMed]5.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rowth hormone(GH) deficienc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summary statement of the GH Research Society. GH Research Socie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0;85(11):3990– 3993.[PubMed]6. 소아과학 10판

성장호르몬의 양을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