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제 그리고 NFC 활성화 방법 삼성페이 교통카드 사용법 추가

본문 내용을 그대로 따라하려면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①NFC 유심 사용 ②삼성페이에 최소 1개 이상의 카드가 등록되어 있어야 함 (등록 과정에서 추가할 수도 있음)

이번에는 삼성 페이 앱을 실행하여 왼쪽 상단에 있는[더 보기]아이콘을 터치하고 [교통카드]를 선택하자.

T-money나 캐시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무슨 차이가 있을까?

대응하는 신용카드 리스트가 다르다.
캐시비의 경우 신한 삼성 현대 하나 롯데 등 모두 5개사만 지원한다.
한편 T머니는 현금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카드사를 비롯해 국민 NH농협 우리 IBK BNK 등 더 다양한 신용카드를 지원한다.

어느 것을 택하든 삼성페이 교통카드 사용법은 같다.
따라서 대중교통 결제 적립률이 가장 높은 카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된다.

다음에 결제방식을 선택하면 돼 선불, 후불, 그리고 휴대폰 결제의 3가지 방식을 지원한다.
가장 편한 방법은 당연히 후불이다.
잔액 걱정이나 충전 스트레스 없이 대중교통을 이용한 만큼 다음 달 결제일에 지불하면 된다.
자녀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삼성페이 교통카드를 등록했다면 후불도 좋은 선택이 된다.
수수료 6%를 차지하는 휴대전화 요금에 합산되는 방식만 피하면 될 것 같다.

카드 선택만 남았어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는 이미 삼성페이에 등록된 신용카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해당 화면에서 티머니나 캐시비가 지원하는 카드사를 골라 삼성페이 교통카드로 사용할 실물 카드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다.
이용약관 동의시 가입 종료!

1회 한도는 하루에 티머니, 현금 5만원까지 결제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삼성페이 교통카드의 삭제 방법은 간단하다.
오른쪽 위에 있다[더 보기]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한다.
그리고 여기서 많은 분들이 놓치고 계신 소득공제 신청도 살펴보자. 그래야 연말정산에 반영된다.

마지막으로 실사용 환경에서의 삼성 페이 교통카드 사용법이다.
Samsung 스마트폰 상단의 바를 아래에 터치하면[NFC]라고 쓰여져 있는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초간 터치하여 상세 설정 페이지로 이동하자.

여기서 NFC 기능을 활성화하면 된다.
기본 모드와 카드 모드가 헷갈리지만 삼성페이 카드 사용은 카드 모드로만 설정해 놓으면 된다.
기본 모드는 배터리 소모량이 다소 많고 비효율적이다.

모든 삼성페이 교통카드 사용 준비가 끝났다.
위 사진처럼 화면이 꺼진 상태, 또는 AOD 상태에서 버스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에 설치된 리더기에 살짝 올려놓으면 된다.
그러면 태깅과 동시에 정상적으로 요금이 결제될 것이다.
결제 내역은 삼성페이 앱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어느 역, 어느 정거장에서 사용했는지 자세히 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