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대명사] every, each, all,

안녕하세요 여러분 문법 선생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정대명사의 종류와 각 단어별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기본적으로 every와 each 뒤에는 단수명사가 일반적으로 오고 all, most, no 다음에는 단수와 여러 개가 다 올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위해 각 부정 대명사별로 예문을 준비해보았습니다.
1번 every는 Hehandle severy mattervery carefully, 그는 모든 일을 매우 신중하게 처리합니다, Every country hasitown constitution, 모든 나라는 고유의 헌법을 가지고 있습니다로 해석되며, 이 경우 Every country hastheirown constitution으로 변경해도 문법적으로 올바른 표현이 됩니다.
이렇게 개별적인 것 전체를 가리키며 원칙적으로는 단수 취급입니다.

둘째, each는 전체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것을 말하며 원칙적으로는 단수 취급을 합니다.
‘Youhavetoanswereachque stion honestly’, ‘당신은 질문 하나하나에 솔직하게 대답해야 합니다’, ‘Eache mployee hashisorherown PC’, ‘직원 개개인은 컴퓨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Eachofus cancontributet otheenvironment’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은 환경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all 뒤에는 명사 수에 동사 수를 일치시키면 되는데, ‘All the buildings in the town weredestroyed.’ buildings 그래서 were, ‘Allherlifewas fild with sacrifices.’ ‘herlife’ 뒤에 ‘was’가 왔습니다.
All of usweresurprise athermarriage.’는 all of + 명사: ~의 모든 것’을 가리킵니다.
‘All Iwant from you is your love.’는 ‘내가 당신에게 바라는 것은 당신의 사랑뿐입니다.
‘로 해석되며, all이 이 경우 the onlything 유일한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면 단수 취급을 합니다.

4번 most도 뒤의 명사 수에 동사의 수가 일치해야 합니다.
‘Mostpeopleareafraid of ghost.’ ‘Most of the book sherearenovels.’ ‘대부분의 사람은 귀신을 무서워한다.
’ ‘여기 있는 책 대부분은 소설이다.
’ 한국어의 의미가 되었고, people과 books 때문에 are라는 비동사가 왔습니다.
“The candidate whoget sthemost voteswins.”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자가 승리한다.
” 라는 문장에서 거의가 아니라 최상급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There renoperfect things’, ‘완전한 건 하나도 없다.
’There is noper fect thing.’으로 변경할 수 있고 ‘Wehavenotimetolose’도 ‘Wedon’t haveanytimetolose’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부정대명사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부정대명사 #every #each #all #most #no #none